-
목차
1.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차세대 BSS
SK텔레콤의 차세대 BSS(Business Support System)는 전통적인 통신 사업자의 역할을 넘어 디지털 서비스 프로바이더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기 위한 핵심 플랫폼입니다.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은 정적인 요금제와 느린 출시 속도,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간 데이터 통합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디지털 시대의 민첩한 고객 요구를 수용하기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SKT는 NOVA로 불리는 차세대 BSS를 통해 기존 구조를 탈피하고 서비스 중심의 구조로의 혁신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BSS는 단순한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아닌, 사업 전략, 고객 경험, 그리고 내부 운영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통합적 혁신을 의미합니다.
NOVA는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핵심 축으로, 신속한 제품 출시, 실시간 고객 응대, 유연한 서비스 조합을 가능케 하며, 5G/6G 시대의 수많은 디지털 서비스와 B2B/B2C 융합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양한 디지털 파트너 생태계와의 연동도 간소화되어 새로운 수익 모델 개발의 중심축이 되고 있습니다.
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통한 유연성 확보
NOVA의 핵심 기술 기반 중 하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입니다. 기존의 모놀리식 구조는 모든 기능이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어, 일부 기능의 수정이나 추가만으로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었던 반면, MSA는 각각의 기능(예: 요금 청구, 고객 관리, 서비스 설정 등)을 독립적인 마이크로서비스로 분할하여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SKT는 개발 주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특정 서비스에 대한 기능을 빠르게 업데이트하거나 롤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컨테이너 기반 플랫폼과 DevOps 기반의 자동 배포 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영 효율성도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요금제나 결합 상품을 기획한 경우 이를 빠르게 설계하고 검증 후 실제 적용까지 걸리는 시간이 과거 수개월에서 수일로 단축되었습니다.
3. 실시간 과금 및 정책 제어 기능의 고도화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고객의 사용량에 따른 실시간 과금 기능은 필수입니다. NOVA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및 OCS(Online Charging System)를 통합한 형태의 실시간 정책 제어 및 과금 플랫폼을 내장하고 있어, 다양한 요금제와 상품 조건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 콘텐츠 구독, IoT 등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용량 기반 과금과 통화 기반 과금의 복합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정책 제어 기능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분배와 품질 보장(QoS) 정책을 사용자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실시간 과금 및 정책 기능은 B2B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API 연동 기반 SaaS/PaaS 상품 구성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NOVA는 이러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설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4. 고객 중심의 통합 플랫폼과 360도 뷰
SKT의 차세대 BSS는 단순한 기술적 플랫폼이 아닌, 고객 경험을 중심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고객 관리 시스템(CRM), 마케팅 자동화, 셀프 서비스 포털, 오프라인 채널, 콜센터, 모바일 앱 등 다양한 접점에서의 고객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360도 뷰(Customer 360 View)로 제공합니다.
이 구조를 통해 고객이 문의하거나 서비스 요청을 할 때, 상담원은 고객의 통신 사용 이력, 가입 상품, 서비스 품질 불만, 최근 접점 이력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빠른 응대가 가능합니다. 또한, 이 데이터는 마케팅 자동화 시스템과 연계되어 고객 세그먼트별 추천 서비스, 할인 쿠폰, 이벤트 알림 등을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컨대 특정 데이터 사용량이 일정 수준을 초과한 고객에게 자동으로 요금제 변경을 제안하거나, 특정 OTT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에게 해당 서비스와 결합된 요금제를 추천하는 등, 맞춤형 경험 제공이 가능해집니다.
5.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와 예측 기능의 접목
NOVA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 및 자동화 기능을 통해 운영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를 동시에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AI 챗봇을 통한 고객 상담 자동화는 이미 상용화되었으며, 상담 흐름 내에서 실제 사람의 개입 없이도 고객의 기본 문의에 대한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
더 나아가, 고객 이탈 예측 모델, 사용량 패턴 분석을 통한 상품 제안 자동화, 네트워크 품질 저하 예측 후 선제적 대응 등 AI의 활용 범위는 점점 확장되고 있습니다. AI 기반 트래픽 예측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정책이나 CDN 트래픽 분산에도 사용되어, 전체 통신 인프라의 효율적 운영을 지원합니다.
SKT는 향후 NOVA 플랫폼에 AI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더하여, 마케팅, 운영, 기술 부문 간의 데이터 흐름을 통합하고, 서비스 자동화의 수준을 더욱 높일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론
SKT의 차세대 BSS(NOVA)는 단순한 시스템 교체를 넘어,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빠른 서비스 출시, 유연한 고객 응대, 다양한 파트너와의 연계, 그리고 AI 기반 자동화까지 포함하는 ‘통신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지 SKT뿐만 아니라, 통신 산업 전체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는 핵심 기반이 되고 있으며, 향후 6G 시대의 기반 시스템으로도 진화해 나갈 것입니다.
'모바일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Edge AI: 데이터 시대의 실시간 지능을 구현하다 (0) 2025.04.08 SKT GPUaaS: AI 시대를 위한 인프라 혁신의 중심 (0) 2025.04.08 중립적 주파수 감독기관의 권한 및 역할 강화: 디지털 시대의 공정하고 투명한 주파수 정책을 위한 제언 (0) 2025.04.07 공공 목적 주파수의 선제적 확보 및 할당 기준 개선: 미래 네트워크 안전망 구축의 핵심 (0) 2025.04.07 6G 표준화와 국제 협력: 글로벌 6G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 (0) 2025.04.07